2025년 10월 24일(금) 10:12
|
올해 벼농사 마무리되어 간다.
작년은 벼멸구, 올해는 깨씨무늬병으로 농가마다 상당히 많은 피해를 입은 것 같다.
해마다 벼농사에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남해는 벼, 시금치 또는 벼, 마늘로 이어지는 이모작농사를 짓는 지역이기 때문에 타 지역보다 땅의 영양 성분 손실이 심하다. 그런 연유로 연작장해가 자주 발생한다.
올해 발생한 깨씨무늬병은 벼에 망간이 부족해 발생한 것이다.
망간 부족 현상은 왜 발생할까?연작장해 등으로 토양 속에 망간 성분이 부족해져 발생되고 망간성분이 있어도 벼가 망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올해는 무더운 날씨로 논의 물 온도가 높아졌고 이로 인해 물속 산소가 부족해 망간 흡수 작용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년보다 잦은 비 등으로 논에 담수된 물이 지속 되는 시간 또한 길었다.
벼 이양후에 헛새끼치는 시기에 논이 갈라지도록 물빼기를 해 뿌리에 산소공급이 잘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황숙기에는 논물을 적당하게 관리하여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
논에 비료 성분이 부족해도 깨씨무늬병이 잘 발생하는데 영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균형시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망간이 부족하다고 망간만 뿌리면 흡수가 되지 않는 특징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철, 아연, 구리, 붕소 등 미량요소가 고르게 있어야 망간도 흡수가 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깨씨무늬병 방지를 위해 미량요소 성분이 9가지 이상 들어 있는 비료로 시비할 것을 권해 본다.
작년은 벼멸구, 올해는 깨씨무늬병으로 농가마다 상당히 많은 피해를 입은 것 같다.
해마다 벼농사에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남해는 벼, 시금치 또는 벼, 마늘로 이어지는 이모작농사를 짓는 지역이기 때문에 타 지역보다 땅의 영양 성분 손실이 심하다. 그런 연유로 연작장해가 자주 발생한다.
올해 발생한 깨씨무늬병은 벼에 망간이 부족해 발생한 것이다.
망간 부족 현상은 왜 발생할까?연작장해 등으로 토양 속에 망간 성분이 부족해져 발생되고 망간성분이 있어도 벼가 망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올해는 무더운 날씨로 논의 물 온도가 높아졌고 이로 인해 물속 산소가 부족해 망간 흡수 작용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년보다 잦은 비 등으로 논에 담수된 물이 지속 되는 시간 또한 길었다.
벼 이양후에 헛새끼치는 시기에 논이 갈라지도록 물빼기를 해 뿌리에 산소공급이 잘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황숙기에는 논물을 적당하게 관리하여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
논에 비료 성분이 부족해도 깨씨무늬병이 잘 발생하는데 영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균형시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망간이 부족하다고 망간만 뿌리면 흡수가 되지 않는 특징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철, 아연, 구리, 붕소 등 미량요소가 고르게 있어야 망간도 흡수가 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깨씨무늬병 방지를 위해 미량요소 성분이 9가지 이상 들어 있는 비료로 시비할 것을 권해 본다.

2025.10.24(금) 11:28











